1. 정의
뼈(=골격)는 우리 몸의 장기(뇌, 심장, 폐등) 및 기관을 둘러싸면서 외부의 충격, 부상으로부터 장기 및 기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뼈는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가 걷거나 달릴 때 몸을 움직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뼈속에는 혈구를 만드는 골수가 들어있습니다. 혈구란 혈액 속 성분으로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됩니다. 혈구는 우리 몸 전신을 돌면서 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합니다. 골수는 뼈 가장 안쪽에 존재하는 부드러운 조직으로 혈구인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 혈액세포를 생성하는 조혈기관입니다. 뼈암을 골육종이라고도 합니다. 골육종은 뼈에 생기는 악성종양으로국내에서는 전체 암 중에서 약 0.2% 정도, 서양에서는 0.3% 정도 드물게 발생합니다. 드물게 발생되지만 심각한 암으로 생존율이 높지 않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2. 특징
뼈에도 암이 생길 수 있습니다. 뼈에 발생되는 암은 일반적으로 골육종입니다. 뼈암은 주로 젊은층에서 발병률이 높습니다. 소아기나 청소년기에는 약 60% 정도, 20대에서는 약 10% 정도 발생하는 걸로 알려졌습니다. 40~50대에서도 발생률은 약 10% 정도 됩니다. 이 암은 뼈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든지 악성종양이 생길 수 있습니다. 보통 긴 뼈라고 하는 장골의 말단부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뼈 중에서도 주로 무릎 주변에서 발생 빈도가 높으며 빈도수는 뼈 중에서 약 80% 정도를 차지합니다. 남성이 여성보다 약 1.5~2배 정도 발생률이 높습니다.
3. 원인
발생 요인은 알려진 정보는 없지만 유전적 요인이 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건강검진이나 질병의 검진 때문에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면, 이전 암이 있었는데 2차적으로 발생했다면 암의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만약 눈동자에 생기는 암 중 유전성 망막모세포종이 있다면 다른 사람에 비해 발생률이 높습니다. 유전성 망막모세포종은 말 그대로 유전성으로 태아는 부모 각자에게 정상 염색체를 1개씩 받습니다. 나머지 1개의 염색체가 이상 염색체라면 약 90% 이상은 비정상 염색체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망막세포종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4. 증상
뼈암은 대부분의 다른 암처럼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암이 진행되거나 침윤이 깊어지면 증상을 느낄 수 있는데 가장 많이 느끼는 증상은 뼈에 통증입니다. 초기에는 운동, 신체의 움직임 시 어깨나 무릎에 통증을 느낍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신체를 많이 움직이면 근육통이 따르므로 근육통으로 오인하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기를 지나면 점차 통증은 심해집니다. 빈번한 특징으로는 종양이 있는 부분의 조직이 부어오르면서 극심한 통증의 증상을 보입니다. 초기에는 조금 쉬면 통증이 가라앉았다면, 초기가 지나면 휴식을 취하여도 그 통증이 쉽게 가라앉지 않습니다. 초기에서 중기, 말기까지는 일반적으로 3~6개월 정도 걸립니다. 유아기, 청소년기에 잘 걸릴 수 있는 만큼 뚜렷한 이유 없이 장골, 무릎 부위에 통증이 있다면 골육종 검사를 시행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5. 진단
골육종 진단을 위한 검사의 첫 번째는 방사선 X-ray 검사입니다. 청소년기에 통증이 있어 골육종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해서도 처음 시행하는 검사가 바로 X-ray입니다. X-ray 검사를 통해 종양이 뼈를 파과하는지, 새로이 뼈를 생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X-ray 검사에서 골육종이 의심된다면 그다음으로 전산화 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을 검사하여 종양의 범위가 어느 정도 되는지 확인하고 진단합니다. 초기에 증상이 미비하고, 단순 근육통으로 오인하여 지나는 경우가 많고, 증상을 느끼고 병원에 오면 이미 암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전체 환자의 약 10~20%는 이미 다른 장기 및 기관으로 전이된 상태입니다. X-ray, CT, MRI 검사에서 암의 유무가 정해지면 그 후 추가적인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골육종은 폐로 전이가 잘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폐 전이 확인을 위해 가슴,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CT)을 시행합니다. 다른 부위 전이도 확인하기 위해서 골 주사 검사를 시행합니다. 종양의 조직을 일부 떼어내어 악성인지 양성인지를 검사하고 최종적으로 종양의 종류에 따라 치료를 하게 됩니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수암 정의, 종류 및 증상 ,원인, 진단, 치료 (0) | 2025.01.02 |
---|---|
뇌암의 정의, 종류 및 발생부위, 증상, 진단, 치료법 (0) | 2025.01.01 |
방광암 정의, 종류 및 발생부위, 원인 및 증상, 진단, 치료 (0) | 2024.12.30 |
직장암 정의, 종류 및 발생부위, 증상, 원인, 진단 (0) | 2024.12.29 |
난소암의 정의, 종류 및 원인, 진단, 증상, 치료 (0) | 2024.12.28 |